본문 바로가기

종합소득세 모두채움 신고 홈택스 간편장부 단순경비율 대상자

골드비 2024. 5. 3.

 

 

안녕하세요 종합소득세 신고창이 열려서 홈택스로 신고를 직접 하고 후기를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제가 모든 사업자 유형을 다 들어가 볼 수는 없기 때문에 가능한 신고만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간편장부 단순경비율에 해당하는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근로자의 모두채움 종합소득세 신고를 알아보겠습니다.

 

 

 

 

홈택스 모두채움 신고 서비스

 

홈택스와 모바일 손택스, 전화ARS 모두 가능합니다. 

 

일단 홈택스에 종합소득세 신고로 로그인합니다 .

 

간편장부, 단순경비율 해당하시는 분은
홈택스 모두채움 신고를 통해 간단하게 신고를 마칠 수 있습니다. 

 

우선 아래 링크를 통해 홈택스에 

사업자가 아닌 개인으로(주민번호)  로그인하셔야 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모바일 손택스 신고

 

 

 

 

국세청 홈택스 [손택스] - Apps on Google Play

If the Sontax app is not installed normally from the Play Store, please install it using the One Store app. National Tax Consultation Center ☎126

play.google.com

 

ARS신고 

 

- ARS 번호: 1544-9944

- 전화를 건 후 2번(종합소득세 신고)를 선택한 후, 개별인증번호 8자리와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를 입력합니다.

- 납부할 세액을 확인한 후 1번을 누르면 가상계좌가 안내됩니다.

 

모두채움 신고 대상자 

 

간편장부, 단순경비율 대상자로

  • 소규모 자영업자, 
  • 근로소득 이외 다른 소득이 있는 직장인, 
  • 주택임대 소득자, 연금생활자, 
  • 인적용역소득자(배달라이더・대리운전기사・학원강사・ 간병인 등)

    가 모두채움 안내 대상입니다

 

모두채움 대상자들은 확인만으로 간단하게 신고를 종료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모두채움신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국세청 자료를 확인해 주세요

240430 국세청_종합소득세 지방소득세 모두채움 대상자 700만 명, ARS 또는 모바일로 편리하게 신고하세요.pdf
0.59MB

 

 

1. 신고도움서비스 

 

신고에 앞서  먼저 홈택스-종합소득세에 들어가서 신고도움서비스로 나의 소득을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신고도움서비스를 확인하면   복식부기인지 간편장부인지, 단순경비율인지 기준경비율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 작년까지는 단순경비율이었는데 올해부터는 기준경비율이네요. 
매출이 올랐기 때문에 좋은 일이지만 ,
재작년에만 오르고 작년에 다시 떨어져서  우울한 일이기도 합니다. ^^;


(참고로 복식장부기준경비율은 모두채움 신고가 불가능하므로 일반신고로 진행하셔야 됩니다. )

 

그래서 저는 다른 아이디로 모둠채움 신고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다음으로 신고안내자료를 클릭하면 나의 소득이 전부 나옵니다. 

 

특별히 사실과 다른 내용이 없다면 이제 모두채움 서비스로 신고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

 

만약 여기서 내 소득이 누락되었다거나 내가 아는 것보다 많다면 반드시 일반신고로 진행해서 수정하셔야 합니다. 

 

 

 

2.종합소득세 모두채움신고 시작

 

그럼 모두채움신고를 시작해 보죠.

 

1).홈택스 로그인 후 종합소득세-모두채움-정기신고를 클릭해 줍니다. 

 

(혹은 로그인 후 팝업이 뜨는데 모두채움 바로가기를 누르셔도 됩니다.) 

 

위에 나의 소득 확인을 했는데  내용이 맞지 않다면  밑에 일반신고-정기신고로 들어가 진행하셔야 합니다. 

 

2).기본정보 입력(모두채움신고는 이미 조회상태임)

 

주민번호 옆에 조회버튼을 누르고 연락처 기재 후  다른 변동사항이 없다면  저장 후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 

 

3).신고안내자료  요약이 나옵니다.
세부내역보기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내역 확인이 가능합니다. 

 

 

4).내용이 다른게 없다면 신고서 제출하기,
사실과 다르다면 신고서 수정하기를 클릭합니다. 

 

제출하면 신고가 끝입니다. 매우 간단하죠?

 

하지만 전 인적사항 수정을 위해 수정하기를 클릭해보겠습니다. 

 

 

 

5).신고서 수정

 

 

A.소득금액 확정

 

사업소득과 근로/연금/기타 소득지급명세서를 불러옵니다. 

만약 불러오기로도 자료가 없다면 사업장 추가입력으로 내가 직접 수입금액을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B.소득공제 정보 작성

 

소득공제 항목이 추가로 있다면 인적공제 수정을 클릭해 입력해 줍니다. 

인적공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24.04.23 - [경제 금융 세금 부동산] - 2024년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인적공제 부양가족공제 추가공제를 자세히 살펴보자

 

2024년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인적공제 부양가족공제 추가공제를 자세히 살펴보자

2024년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인적공제 부양가족공제 추가공제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5월이 돌아왔네요 기본적인 신고대상은 아래글을 참고해 주셔도 좋습니다. 개괄적인 내용을 알고가면 좋거든

goldbee8.tistory.com

 

근로자와 사업자에 따라 보험료 공제는 차이가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불러오기를 통해 자료를 불러올 수 있고 나머지 추가로 가입한 연금 등이 있다면 공제항목에 기재해 주면 됩니다. 

 

보험료 등 소득공제에 대한 역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24.05.02 - [경제 금융 세금 부동산] - 종합소득세 신고 2024 소득공제 연말정산과 차이 보험료 노란우산 공제

 

종합소득세 신고 2024 소득공제 연말정산과 차이 보험료 노란우산 공제

안녕하세요  2024년 종합소득세 신고 관련 내용을 포스팅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아래글을,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2024년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환급 연금소득종합소득세

goldbee8.tistory.com

 

C.세액공제 작성

 

다음은 세액공제 화면입니다. 

 

근로자인 경우 연말정산 간소화 불러오기를 통해 연말정산 당시 세액공제 받았던 내용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기부금 역시 기부금 내역이 제출되었어야 가능한데 기부금 명세서 불러오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세액공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24.05.02 - [경제 금융 세금 부동산] - 2024년 종합소득세 신고 세액공제 기장 자녀 정치자금 표준세액공제

 

2024년 종합소득세 신고 세액공제 기장 자녀 정치자금 표준세액공제

안녕하세요 종합소득세 신고 납부의 계절인 5월이 돌아왔습니다.  저도 요즘 제 종합소득신고도 하고 포스팅도 하고 바쁘게 보내고 있습니다 .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종합소득세 신고 내용중

goldbee8.tistory.com

 

D.기납부 세액 확인

 

원천징수된 기납부 세액도 확인 하셔야 합니다. 

 

결정세액-기납부세액=내가 최종 납부 또는 환급 받을 세액입니다. 

 

E.내용에 이상이 없다면 동의를 클릭한 후 신고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마치며

 

이것으로 종합소득세 모두채움 신고를 마쳤습니다. 매우 간단하게 확인만으로 신고가 종결되고 수정역시 간편합니다. 

 

이렇게 신고하는 방식으로 약 700만명이 신고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세청이 잘한 일은 칭찬할만 합니다 .

 

앞으로도 이렇게 신고가 간편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면 좋겠네요. 

 

한국의 세법은 지나치게 복잡하고 어렵거든요. 

 

아래 기사도 참고해 보시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은 기준경비율 일반 사업자, 프리랜서, 근로소득자의 일반 신고과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종합소득세 지방소득세 모두채움 대상자 700만 명, ARS 또는 모바일로 편리하게 신고하세요

민주원 국세청 개인납세국장 다른 기관에서도 좋은 자료 많이 발표하는데 이렇게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발표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국세청 개인납세국장입니다. 지금부터 2023년 귀속 종합

www.korea.kr

 

댓글